제주도의 생성 과정 - 제주에서의 화산활동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10 23:37
본문
Download : 제주도의 생성 과정 - 제주에서의 화.hwp
화산섬 제주는 신생대 제3기말 플라이오세에서 신생대 제4기 플라이스토세에 걸친 화산활동의 산물로 형성되었다.
제주도의 생성 과정





제5분출기 (10만년~2만5천년 전) - 기생화산 형성
제4분출기 (30만년~10만년 전) - 한라산 화산체 형성
제주도의 생성 과정 - 제주에서의 화산활동
순서
설명
제주도의 생성 과정 분출단계 제1분출기(1백20만년 이전) - 기저 형성 제2분출기 (1백20만년 전 ~ 70만년 전) - 원시제주도 형성 제3분출기 (70만년~30만년 전) - 해안저지대 형성 제4분출기 (30만년~10만년 전) - 한라산 화산체 형성 제5분출기 (10만년~2만5천년 전) - 기생화산 형성
분출단계
다.
Download : 제주도의 생성 과정 - 제주에서의 화.hwp( 49 )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제주도의 생성 과정 - 제주에서의 화산활동
제주에서의 화산활동은 크게 5회의 분출 단계로 구분되고 있으며, 110회 이상 용암분출이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아
제2분출기 (1백20만년 전 ~ 70만년 전) - 원시제주도 형성
제1분출기(1백20만년 이전) - 기저 형성
제3분출기 (70만년~30만년 전) - 해안저지대 형성
즉, 신생대 제3기말 플라이오세에 기저를 구성하고 있는 현무암이 해상에서 분출된 이후, 신생대 제4기(1백20만년 전~2만5천년 전) 동안 계속적인 화산활동의 결과로 만들어진 성산층, 화순층, 신양리층 등의 퇴적암층과 현무암, 조면암질안산암, 조면암 등의 화산암류, 그리고 후화산작용에 따르는 각종 화산쇄설물 등으로 제주도(濟州島)가 형성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