욕구와 이성 - 플라톤의 영혼론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0 14:44
본문
Download : 욕구와 이성 - 플라톤의 영혼론 연구.hwp
이것을 논하면서 이 글은 이성에게 부여한 궁극의 지향점으로서 위, 참된 위에 대한 플라톤의 주장을 intro 할 것이다. 그러나 10권의 플라톤은 영혼이 부분들을 갖는 것일 수 없음을 말하는 것처럼 보인다. 세 번째로 묶을 수 있는 것들은 대체로 플라톤의 영혼에 관한 여러 논의들은 기본적으로 인간의 욕구에 대한 分析을 중요 내용으로 삼는다는 견해에서 출발하거나 그리로 나아가는 해석들이다. 2권부터 9권까지 진행된 영혼과 국가의 구성 원칙에 관한 논의는 부분들을 갖는 영혼을 기초로 한 것이었다.
2장 『국가』의 영혼分析-영혼의 세 부분
1) 문제의 지평
플라톤의 영혼론 또는 오늘날의 용어로 하자면 심리철학 분야에서 주목할 만한 『국가』 연구 방향은 대체로 다음과 같이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이들은 서로 일정한 연관을 맺고 있다아 첫 번째는 플라톤이 『국가』에 해 놓은 영혼 나누기 자체와 관련하는 연구이다. 현대의 관점에서 보자면 이 분류에 들어오는 연구들이 플라톤의 심리론을 본격적으로 다룬다고 할 수 있…(省略)






욕구와 이성 - 플라톤의 영혼론 연구
영혼의 본성에 관한 플라톤의 논의를 해명하는 것이다. 이곳에서 플라톤은 `이성`, `기개`, `욕구`로의 삼분을 통해 영혼의 본성과 그것이 작용하는 방식 그리고 부분들간의 관계를 설명한다. 플라톤 자신은 이 같은 논의들이 논증으로 완성되었다고 강조한다. 이것은 영혼의 불멸성에 관한 논의를 중요한 논점으로 끌어들이고 이 방향의 연구는 영혼 분할과 불멸성 논증 사이의 일정한 관계 설정을 연구의 중요한 goal(목표) 로 삼는다. 주로 나눔의 원칙을 중심으로 논증들의 정교함이나 정합성 등에 주목하며 관련된 문제들을 탐구한다.
설명
순서
,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욕구와 이성 - 플라톤의 영혼론 연구.hwp( 36 )
레포트/인문사회
영혼의 본성에 관한 플라톤의 논의를 해명하는 것이다. 두 번째 부류의 연구들은 『국가』 내에서, 특히 9권까지의 논의와 10권속의 논의 사이에서 발견되는 상반된 듯한 견해들을 검토하여 어느 것이 플라톤의 궁극적인 입장인지를 논쟁하거나 이들의 화해가능성을 모색하는 연구들이다.
다. , 욕구와 이성 - 플라톤의 영혼론 연구인문사회레포트 ,
1장 서 론
1) 전체 논의의 지평
2) 논문의 입장과 전개
2장 폴리테이아의 영혼分析 - 영혼의 세 부분
1) 문제의 지평
2) 나눔의 원칙
3) 욕구 부분
3.1) 욕구 규정
3.2) 욕구의 이중성
4) 이성 부분; 이성 규정과 그것의 이중성
5) 힘으로서의 부분들
5.1) 욕구와 이성; 지배원리
5.2) 욕구 탐구
5.3) 욕구와 이성 - 지배의 구조
6) 레온티우스와 오딧세우스
7) 새로운 물음들
3장 부분들의 충돌? - 아크라시아를 보는 관점
1) 문제 이해하기; 문제들의 토대
1.1) 아크라시아에 대한 입론; 프로타고라스와 데이비슨
2) 쾌락주의 논제
2.1) 쾌락주의와 아크라시아; 욕구와 쾌락
2.2) 앎에 반하는 행위의 가능성; 알면 행한다?
3) 정신의 구조와 아크라시아
3.1) 문제제기; 의지의 개입
3.2) 이성 또는 지식; 올바른 계산의 문제인가?
3.3) 事例(사례)검토
4) 부분들간의 차이
4.1) 기개와 의지
4.2) 좋음과 단순한 욕구
4장 쾌 락
1) 함께 생각해 볼 문제들
2) 평가
2.1) 쾌락의 가치; 판정 기준 문제
2.2) 쾌락의 가치; 좋음과의 관계
3) 참된 쾌락, 그림자 쾌락
4) 쾌락과 합리성
5장 계산하는 이성, 욕구하는 이성
1) 도구적 이성; 과정에서 성립하는 이성
2) 도구적 이성을 넘어
2.1) 도구론에 대한 반성
2.2) 도구론을 넘어섬
3) 행위의 동기가 되며 욕구를 지배하는 이성
3.1) 이성의 힘
3.2) 키잡이 모델과 교육의 goal(목표) ; 두루 봄
맺 음 말 ; 참된 위로의 상승 그리고 하강
이성의 이중성은 이렇게 2장에서는 유사한 맥락의 것으로 함께 논의했던 욕구의 이중성 문제보다 조금 더 복잡한 논의 배경과 해결 project를 가지고 있는 문제이다. 그러나 참된 위는 훈련된 이성이 품게 되는 열망이자 다시 그 곳으로부터 아래로 내려오지 않을 수 없게 하는 근거로서 설정된 것이라는 생각을 품지 않을 수 없다. 이곳에서 플라톤은 `이성`, `기개`, `욕구`로의 삼분을 통해 영혼의 본성과 그것이 작용하는 방식 그리고 부분들간의 관계를 설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