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 갯벌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02 12:16
본문
Download : 새만금 갯벌.hwp
새만금 갯벌
새만금
,의약보건,레포트
1) 문제의 관념
2) 새만금 간척사업의 현실파악
① 새만금 탄생의 배경
② 새만금 간척사업의 개요
③ 간척사업의 실태
④ 사업비
⑤ 새만금 간척사업의 문제점(問題點)
* 갯벌의 가치와 기능
* ‘새만금사업’에 대한 한국해양학회 회원들의 意見
3) 현재의 대안measure(방안)
政府(정부), 전문가, 주민, 네티즌
4) 외국instance(사례)
① 미국 ② 日本(일본)
5) 실천measure(방안)
5) 새만금 간척사업의 문제점(問題點)
방조제공사이후 갯벌 오염 악화, 백합 생산 중단, 유수 흐름 차단하여 무기물이 분해안됨,
철새들의 종의 다양성 감소
(1) 새만금 담수호 오염문제는 현재의 政府(정부)계획으로 해결될 수 없다.
(2) environment(환경) 기초시설의 제기능 불능의 문제
▷새만금호의 오염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environment(환경) 기초시설의 정비와 함께 하수관거정비계획…(투비컨티뉴드 )
Download : 새만금 갯벌.hwp( 64 )
순서
설명
새만금 간척사업의 동향에 대상으로하여 조사하고 향후 대안方案에 대상으로하여 요약하였습니다.새만금 , 새만금 갯벌의약보건레포트 ,






다.(97년 국정감사 자료(data))
▷특히 만경강과 동진강의 경우 축산폐수량이 많아 호수의 부영양화의 原因이 되는 총인과 총질소의 양이 만경강의 경우 T-N은 기준치 12.9배, T-P는 8.9배, 동진강의 경우 T-N은 4.6배에 이르고 있어 새만금호에 影響(영향)을 주는 하천의 수질改善(개선) 을 위한 획기적인 대안이 마련되지 않는다면 지금 흘러 들어오는 물을 가두어 두더라도 시화호보다 더 오염될 것이라는 예측이 가능하다.
레포트/의약보건
새만금 간척사업의 현황에 대해서 조사하고 향후 대안방안에 대해서 정리하였습니다.
▷이미 새만금호에 影響(영향)을 미칠 만경강과 동진강 유역의 최하류지점에서의 수질을 시화호의 수질과 비교해보면 만경강의 수질은 `96년 mean or average(평균) COD가 17.6ppm으로 동기대비 시화호의 수질보다 1.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시화호의 물막이 공사가 완료되기 전인 `93년과 비교하면 4.6배나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