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수학 공개키 RSA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04 08:54
본문
Download : 대수학 공개키 RSA.hwp
그러므로 3차 방정식을 풀어 m을 구할 수 있다아 따라서, 작은 e를 사용하는 것은 문제가 생길 수 있다아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메시지 m에 랜덤비트(64비트 정도)를 패딩하는 것도 한 가지 방법이 될 수 있다아 이러한 경우 Broacasting 시 각각 다른 랜덤 수를 사용하면 문제가 없다. 또한 작은 메시지 m을 쓰는 것도 문제가 될 수 있으나, 이러한 문제도 랜덤 비트를 패딩하여 해결할 수 있다아
▶ Forward Search 공격
…(To be continued )






RSA의 대수학적 배경과 정의 이론 등에 관해서 조사한 자료입니다.대수학공개키RSA , 대수학 공개키 RSA기타레포트 ,
레포트/기타
RSA의 대수학적 배경과 definition 이론(理論) 등에 관해서 조사한 자료(data)입니다.
,기타,레포트
설명
1. 모델설정
2. 결점 도출
3. 해답도출
4. 理論(이론) 정리(arrangement) 및 보완
5. 관련된 理論(이론)
▶ 작은 e를 사용한 경우
암호화 과정에서 효율성 향상을 위하여 작은 지수 e(예를 들어 e=3)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생각해 보자. 만약 사용자 A가 같은 메시지 m을 3명의 사용자에게 보낸다면 다음과 같은 암호문을 보내야 한다. 각 사용자의 공개키는 3)이라 하자.
〓 mod , i 〓 1, 2, 3
, , 는 높은 확률로 서로 소이므로 Gauss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다음 식을 만족하는 x를 구할 수 있다아
x 〓 mod
x 〓 mod
x 〓 mod
이므로 x 〓이다.
Download : 대수학 공개키 RSA.hwp( 89 )
순서
대수학공개키RSA
대수학 공개키 RSA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