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계획 - 친환경 건축에 관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8 01:32
본문
Download : 도시계획 - 친환경 건축에 관해.hwp
·베드제드
1.원전사고 ·후쿠시마 ·체르노빌 2.친환경·에너지 ·제로하임 ·베드제드 ※ 참고문헌





1.원전사고
도시계획 - 친환경 건축에 관해
2.친환경·에너지
Download : 도시계획 - 친환경 건축에 관해.hwp( 82 )
도시계획,친환경 건축
·후쿠시마
·체르노빌
2011년 3월 11일 오후 2시 46분, 日本(일본) 도호쿠 지방 태평양 앞바다, 북위 38.1도, 도쿄 142.9도 깊이 약 24km를 진원지롤 하는 매그니튜드 9.0의 거대 지진이 발생했다. 온도상승으로 인한 노심용융이 일어날 것에 대비해 대량의 해수주입도 단행하였다.
순서
·제로하임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설명
※ 서지사항
다. 이러한 비상사태를 대비하여 디젤발전기의 설치가 의무화되어있는데, 도쿄전력의 당초 발표에서는 이 비상용전원이 쓰나미에 의해 고장 나 제 기능을 하지 못한 것이 중대 사고로 이어졌다고 하였다. 후쿠시마에 제 1워자력발전소에 일어난 사고는 ‘전력공급의 중단’으로 인해 ‘발전소의 모든 시설이 정전’되었고, 이로 인해서 ‘워자로를 냉각할 수 없게 되었던 것’이다. 이로 인하여 후쿠시마 원전 발전소의 전기가 모두 차단되어 큰 사고로 이어졌다. 이 수증기의 압력은 높아져 원자로의 유지가 어렵게 된다. 이 지진은 日本(일본) 지진관측 사살ㅇ 최대 규모이며, 근대과학에 의해 지진관측이 이루어진 1900년대 이후 세계에서 4번째로 강한 에너지를 방출해, 약 23만명이 희생된 2004년 12월의 수마트라 섬 앞바다 지진에 거의 필적할 거대 지진이었다. 모든 원전은 비상사태가 일어났을 경우, 노심에 ‘제어봉’을 꽂아서 핵분열을 멈추게 설계된다. 원자로는 정지할 경우 스스로 냉각할 수 있는 전원까지 상실하고 만다. 그러나 핵분열을 멈추었다고 해서 바로 안전한 상태가 되는 것은 아닐것이다. 그러나 외부전력의 상실로 냉각기능을 할 수 없게 되면서 대형사고로 이어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호기, 3호기, 4호기에서 수소폭발이 일어났다. 냉각이 멈추면 원자로 내부의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게 되어 냉각수를 수증기화 시켜버린다. . 이번 사고의 경우, 지진이 일어났을 때에 제어봉이 삽입되어 핵분열反應(반응) 자체는 멈춘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