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박남수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7 11:52
본문
Download : 새-박남수시.hwp
다. 그 무게와 촉감과 빛깔처럼 어떤 따뜻함도 여유도 없는 견고함, 냉정함, 차가움과 비생명성, 비순수성을 환기해 준다.
제1연은 새의 무지(無知), 제2연은 새의 진실에 대한 시인의 연민이 담겨진다. 그리고 제3연에 가서 비로소 시인은 자연의 파괴와 서정에 대한 가혹한 행위와 인간의 포악성을 지적한다.
또한, 주지시 계열인 이 시는 좀처럼 시인의 감정을 노출시키지 않는다. 새-박남수시 , 새-박남수시감상서평레포트 ,
박남수 작가의 새에 대한 시를 analysis(분석) 한 내용이다.
세 개의 단락으로 구성된 이 시는 조심해서 살펴보면 1연과 2연이 서로 대…(투비컨티뉴드 )
박남수 작가의 새에 대한 시를 분석한 내용이다. 물론 인간의 눈과 지식으로써 ‘새’를 보았을 때의 일이다.,감상서평,레포트
순서
새-박남수시
설명



Download : 새-박남수시.hwp( 79 )
레포트/감상서평
새-박남수시
ꁶ 연구 문제
1 . 이 시의 주제는 어떤 이유에서 문명 비판적인가? 100자 내외로 쓰라.
<모범답> 이 시의 주제는 인간의 인위성과 가식성에 대조되는, 자연의 본능적 순수성과 아름다움에 대한 예찬인데, 바로 그 속에 인간 문명의 비정함과 파괴성을 꼬집는 문명 비판적 성격이 내포되어 있따
2 . ‘새’와 ‘포수’가 상징하는 의미를 밝혀 한 문장으로 쓰라.
<모범답> * 새 : 의도나 가식이 없는 자연 그대로의 순수성
* 포수 : 자연스런 순수성을 파괴하는 비정하고 공격적인 인간 문명의 주체
3 . ㉠이 환기하는 의미는 무엇인가?
<모범답> ‘한덩이 납’은 인간의 기계 문명의 상징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문명의 이기(利器, 여기서는 ‘총’)로써 자연의 생명 등 평화로운 순수와 진실한 순수와 빼앗을 수 없는 순수를 파괴하는 현실을 들추어내면서 인간이 문명에 의해 궁극적으로 자아를 파괴한다는 점에 귀착시킴으로써 현대인의 의식에 경종(警鐘)을 울려 주는 명시이다.
4 . ㉡을 ‘속화된 비순수(非純粹)’로 본다면, (3)에서 표현하고자 한 내용은 무엇인가?
<모범답> 순수하지 못한 존재가 순수함을 추구하나 이루어질 수 없음을 표현하였다.
ꁶ 감상의 길잡이
이 시는 <신태양>(1959. 3)에 실렸고, 그의 제3시집 ꡔ신의 쓰레기ꡕ(1964)에 수록된 작품으로서 시인 박남수의 대표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