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사회] 대법원 선고 중요판결 요지 국가배상 책임 / 대법원 2003. 7. 11.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1 20:52
본문
Download : 대법원 선고 중요판결 요지 - 국가배상 책임.hwp
대법원 2003. 7. 11. 선고 중요판결 요지 민 사 2003다195...
순서
[인문사회] 대법원 선고 중요판결 요지 국가배상 책임 / 대법원 2003. 7. 11.
설명
Download : 대법원 선고 중요판결 요지 - 국가배상 책임.hwp( 39 )
대법원 2003. 7. 11. 선고 중요판결 요지 민 사 2003다195...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대법원 2003. 7. 11. 선고 중요판결 요지 민 사𠎣다19558 구상금등 (바) 파기환송 ◇어느 한 채권자가 동일한 사해행위에 관하여 채권자취소 및 원상회복청구를 하여 승소판결을 받아 그 판결이 확정된 사정으로 그 후에 제기된 다른 채권자의 동일한 청구가 권리보호의 이익이 없어지게 되는지 여부(소극)◇ 채권자취소권의 요건을 갖춘 각 채권자는 고유의 권리로서 채무자의 재산처분 행위를 취소하고 그 원상회복을 구할 수 있는 것이므로 각 채권자가 동시 또는 이시에 채권자취소 및 원상회복소송을 제기한 경우 이들 소송이 중복제소에 해당하는 것이 아닐 뿐만 아니라, 어느 한 채권자가 동일한 사해행위에 관하여 채권자취소 및 원상회복청구를 하여 승소판결을 받아 그 판결이 확정되었다는 것만으로 그 후에 제기된 다른 채권자의 동일한 청구가 권리보호의 이익이 없어지게 되는 것은 아니고, 그에 기하여 재산이나 가액의 회복을 마친 경우에 비로소 다른 채권자의 채권자취소 및 원상회복청구는 그와 중첩되는 범위 내에서 권리보호의 이익이 없게 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շ다24218 손해배상(기) (타) 파기자판(지연손해금부분) ◇법관의 재판에 대한 국가배상책임이 인정되기 위한 요건◇ 법관의 재판에 법령의 규정을 따르지 아니한 잘못이 있다 하더라도 이로써 바로 그 재판상 직무행위가 국가배상법 제2조 제1항에서 말하는 위법한 행위로 되어 국가의 손해배상책임이 발생하는 것은 아니고, 그 국가배상책임이 인정되려면 당해 법관이 위법 또는 부당한 목적을 가지고 재판을 하였다거나 법이 법관의 직무수행상 준수할 것을 요구하고 있는 기준을 현저하게 위반하는 등 법관이 그에게 부여된 권한의 취지에 명백히 어긋나게 이를 행사하였다고 인정할 만한 특별한 사정이 있어야 한다고 해석함이 상당하다(대법원 2001. 10. 12. 선고 2001다47290 판결, 2001. 4. 24. 선고 2000다16114 판결, 2001. 3. 9. 선고 2000다2990...
인문사회 대법원 선고 중요판결 요지 국가배상 책임 / 대법원 2003. 7. 11.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