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약학] 면역 - 세포성면역, 체액성면역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22 23:25
본문
Download : [의학,약학] 면역 - 세포성면역, 체액성면역.hwp
즉 체액성 면역은 항원(병원체, 이물질)이 체내에 들어왔을 때 그 항원을 분해, 제거하기 위해 항체를 만들어내는 것이다. 즉, 면역反應(반응)이란, 아군과 적군을 식별하는 기구이며, 적군을 항원으로 인식하고 특이하게 항체를 만들어서 이에 대응하는 反應(반응)이라 한다. 항원에 대해 세포가 反應(반응)하는 경우이므로 세포 매개 면역反應(반응)이라고도 하며 세포 면역反應(반응)의 주역은 T림프구 이다.
면역세포의 항원 인식방법
면역세포(B-cell, T-cell)들은 이물질(항원)을 인식 하기위해 특수한 장치를 세포 표면에 가지고 있다 B-cell 표면에는 항원 수용체가 있어 항원과 反應(반응)하는데, 면역 글로불린이 항원 수용체로 작용한다. 예방접종 백신이 체액성 면역인데, 병원체를 죽이거나 약화시켜 인체에 주입하였을때 병은 발생되지 않고 면역계만 자극하여 면역력을 얻게 함으로써 실제로 동일한 병원체가 침입했을 때 그 병원체로부터 인체를 방어하는 것이다.
세포성 면역
항원자극을 받은 T림프구가 여러 사이토카인을 만들어내어 대식세포, 자연살해세포 등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암세포 또는 세포내 기생세균은 바이러스등을 파괴하는 면역기능을 세포성 면역이라고 한다.[의학,약학],면역,-,세포성면역,체액성면역,의약보건,레포트
Download : [의학,약학] 면역 - 세포성면역, 체액성면역.hwp( 76 )
설명
[의학,약학] 면역 - 세포성면역, 체액성면역
레포트/의약보건
순서
면역이란
면역(immunity)은 외부로부터 침입하는 미생물, 세균이 조직이나 체내에 생긴 불필요한 산물들과 특이하게 反應(반응)하여 항체를 만들며, 이것을 제거하여 그 개체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현상이다. 마찬가지로 T-cell…(생략(省略))
![[의학,약학]%20면역%20-%20세포성면역,%20체액성면역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98%ED%95%99,%EC%95%BD%ED%95%99%5D%20%EB%A9%B4%EC%97%AD%20-%20%EC%84%B8%ED%8F%AC%EC%84%B1%EB%A9%B4%EC%97%AD,%20%EC%B2%B4%EC%95%A1%EC%84%B1%EB%A9%B4%EC%97%AD_hwp_01.gif)
![[의학,약학]%20면역%20-%20세포성면역,%20체액성면역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98%ED%95%99,%EC%95%BD%ED%95%99%5D%20%EB%A9%B4%EC%97%AD%20-%20%EC%84%B8%ED%8F%AC%EC%84%B1%EB%A9%B4%EC%97%AD,%20%EC%B2%B4%EC%95%A1%EC%84%B1%EB%A9%B4%EC%97%AD_hwp_02.gif)
![[의학,약학]%20면역%20-%20세포성면역,%20체액성면역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98%ED%95%99,%EC%95%BD%ED%95%99%5D%20%EB%A9%B4%EC%97%AD%20-%20%EC%84%B8%ED%8F%AC%EC%84%B1%EB%A9%B4%EC%97%AD,%20%EC%B2%B4%EC%95%A1%EC%84%B1%EB%A9%B4%EC%97%AD_hwp_03.gif)
[의학,약학] 면역 - 세포성면역, 체액성면역 , [의학,약학] 면역 - 세포성면역, 체액성면역의약보건레포트 , [의학 약학] 면역 - 세포성면역 체액성면역
[의학,약학] 면역 - 세포성면역, 체액성면역
다. 항원에 대해 항체가 反應(반응)하는 경우이므로 항체 매개 면역反應(반응)이라고도 한다. 세포성 면역을 담당하는 T림프구는 기능에 따라 면역反應(반응)을 강화시키는 보조 T림프구, 면역反應(반응)을 억제시키는 억제 T림프구, 이상세포를 직접 공격하여 살상하는 세포독성 T림프구로 나눌 수 있다 이들 T세포는 상호 影響(영향)을 주면서 질서정연하게 세포성 면역 기능을 수행한다.
체액성 면역
항원의 자극으로 B림프구가 형질세포(항체 생산세포)로 변화하여 항체(면역 글로부린)를 생산하고, 이 항체가 항원과 反應(반응)하는 면역反應(반응)이 체액성 면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