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와 도서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11 07:26
본문
Download : [독서교육] 독서.hwp
그러나 과연 그러한가?
독서 도서관 도서관자료 / (독서교육)
6. 학교 도서관을 이용한 모둠 수업
독서 도서관 도서관자료
3. 우리 지역의 도서관
독서와 도서관
다.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1. 도서관의 역할
독서 도서관 도서관data(資料) / (독서교육)
4. 도서관 reference(자료)의 종류와 분류
2. 우리 학교 도서관
Download : [독서교육] 독서.hwp( 46 )
5. 도서관 reference(자료)의 이용 방법
설명
각급 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독서reality(실태) 조사 결과(한국출판연구소, 1997)에 의하면 독서 장애 요인, 즉 독서를 하지 않는 이유로 학생들이 가장 많이 답변한 것은 책 읽는 것이 싫고 습관이 안 들었다는 것이었으며(24.6%), 그 다음은 어떤 책을 읽을지 모르겠다는 응답이었다(14.1%). 입시나 학교공부 때문이라는 응답은 고등학교에서만 24.9%로 높게 나타났을 뿐, 초등학교와 중학교에서는 모두 10% 미만이었으며(초등학교 4.4%, 중학교 5.8%), TV나 비디오를 보느라 시간이 없다는 응답도 전체 10.7%(초등학교 7.6%, 중학교 12.4%, 고등학교 12.3%)로 나타나, 입시 중심의 교육제도와 영상과 음악 중심의 靑少年 文化가 독서장애의 근본적인 原因은 아님을 알 수 있따
순서
학생들이 책을 읽지 않아서 걱정이라는 목소리가 높다. 필자가 근무하는 학교에서도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해 보면 한 달에 책 한 권 읽는 학생을 찾기가 힘들다. 또, 출판文化의 미래가 어둡다는 말도 있고, 문학의 위기란 말도 생겨났다.
왜 우리의 학생들이 이렇게도 책을 읽지 않는가? 기성 세대는 이런 물음을 받게 되면 그 답으로 가장 먼저 입시 중심의 교육제도와 영상과 음악 중심의 靑少年 文化를 떠올린다. 오히려 1년이 가도 책 한 권 읽지 않는 학생을 찾기가 더 쉬운 형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