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우석교수1차논문分析(분석)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5 20:38
본문
Download : 황우석교수1차논문분석.hwp
다만 생쥐의 배아 줄기세포와 비교하면 형태적, 생화학적 특징이 유사한 점으로 미루어 다능발생 능력이 있을 것으로 여겨지고 있따
3) 중복성 줄기세포(Multipotent stem cell)
중복성 줄기세포는 발생이 더 진행된 다음에 나타나며, 특정한 계통으로만 분화하도록 어느 정도 세포의 운명이 결정된 상태이다.황우석교수1차논문分析(분석)
레포트/공학기술
설명





,공학기술,레포트
순서
황우석교수1차논문分析(분석)97
에 대하여 조사하였습니다.
Download : 황우석교수1차논문분석.hwp( 61 )
황우석교수1차논문분석 에 대하여 조사하였습니다. 중복성 줄기세포는 성인에게서도 얻을 수 있으므로 윤리적인 문제를 야기 시키지 않으며, 배아 줄기세포에 비하여 분화된 세포의 종류가 이미 제한되어 있어 특정한 형질을 지닌 세포를 얻기가 오히려 용이한 長點이 있따 현재 배아 및 다기능 줄기세포가 지닌 각각의 속성 을 이용하여 균질한 사람세포 및 조직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세계…(To be continued )
다. ICM은 후에 태아의 몸을 구성하게 될 세포집단으로서 태반이 될 바깥의 영양세포(trophoblast)와는 구별된다 ICM만 자궁에 넣어주면 태반이 형성되지 않아 태아가 생겨날 수 없지만 아직도 태아의 몸을 구성하는 모든 종류의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능력을 잃지 않은 상태이며, ICM의 다능발생 능력(pleuri potency)을 유지시키면서 배양한 세포가 배아 줄기세포이다. 이 세포는 태아 뿐 만 아니라 어린이, 성인에도 존재하며, 세포의 교체주기가 빠른 조직에서 지속적으로 세포를 충당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골수에 있는 조혈 줄기세포(hematopoietic stem cell), 소화기벽을 구성하는 상피조직의 미분화세포들이 이에 해당한다.황우석교수1차논문분석97 , 황우석교수1차논문분석공학기술레포트 ,
황우석교수1차논문分析(분석)
(ICM)가 이에 해당한다. 그동안 재생능력이 없다고 알려진 성인의 중추신경계에도 중복성 줄기세포가 있다고 밝혀졌다. 생쥐의 배아줄기세포를 다시 포배기의 배아에 넣어주면 기존의 ICM과 섞인 후, 생식세포를 포함한 모든 종류의 세포로 분화하여 자손에게 그 형질이 유전되는 것으로 중복발생 능력을 확인할 수 있따 사람의 경우에는 생쥐와 같은 實驗이 불가능하므로, 1998년에 Thomson이 배양에 성공한 인간의 배아 줄기세포는 實驗적으로 다능발생 능력이 증명되지 않은 상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