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준어에 상대되는 특정 지역의 방언형 - 경기방언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4 06:18
본문
Download : 방통대.hwp
가령 밭이>바치(田), 맏이>마지(맏아들)처럼 ㅌ이 ㅊ로, ㄷ이 ㅈ으로 바뀌는 현상을 보여준다.
Download : 방통대.hwp( 83 )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경기도 방언의 음운현상으로는 움라우트 현상, 비원순모음화 현상, 구개음화현상이 있다아
경기방언 방언연구 지역방언
경기방언 방언연구 지역방언 / ()
경기방언 방언연구 지역방언 / ()
2) 문법론적 특성(特性)
비원순모음화 현상으로는 18세기부터 觀察(관찰) 되는 비원순모음화 현상인 o> 현상이 많이 발견된다 가령 본>번, 본전>번전, 보리> 버리, 몬져>먼저와 같은 현상들이 나타나는 것에서 알 수 있다아 이는 /o/가 선행하는 자음의 원순성 자질로 인해, 뒤에 겹쳐지는 원순모음의 자질이 상실되는 것에서 기인했다. 그러나 숭년, 성(兄), 심(力)과 같이 h-구개음화를 경험한 예는 있다아





1.경기방언의 특성(特性)
1) 음운론적 특성(特性)
다.
2.표준어에 상대되는 경기도의 지역별 방언형
움라우트 현상으로 후부모음과 전부모음이 대립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아 경기도 방언에서의 움라우트 현상은 주격어미 -이나 접사 -기가 제약 받는 것으로 나타난다.
3) 어휘의 의미적 특성(特性)
-어휘와 문장 수록
설명
표준어에 상대되는 특정 지역의 방언형 - 경기방언
순서
t-구개음화 또한 경기도 방언에서 잘 나타나는 음운현상이다. 이런 움라우트 현상은 18세기부터 나타나기 스타트했는데, 본래 움라우트 현상은 남부지역에서 17세기쯤에 일어나 북쪽으로 전파된 것이다. 이는 남부방언에서 먼저 일어나 평안방언을 제외한 전국으로 퍼진 현상이기도 하다. 이는 또한 모음체계상 /o/와 / /가 원순성에 의한 대립을 이루고 있는 짝임을 전제로 한다. 반면 k-구개음화 현상은 충청도와 인접한 경기남부 일부 지역을 제외한 지역과 서울방언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