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vironment오염기본진단과 environment오염정밀진단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07 17:13
본문
Download : 환경오염기본진단과 환경오염정밀진단.hwp


환경오염기본진단과,환경오염정밀진단,자연과학,레포트
레포트/자연과학
환경오염기본진단과 환경오염정밀진단 , 환경오염기본진단과 환경오염정밀진단자연과학레포트 , 환경오염기본진단과 환경오염정밀진단
Download : 환경오염기본진단과 환경오염정밀진단.hwp( 79 )
environment오염기본진단과 environment오염정밀진단
環境오염기본진단과 環境오염정밀진단
1. 環境오염기본진단 (Phase I Environmental Site Assessment)
環境오염기본진단이란 표준화된 절차에 따라 環境전문가가 및 현장조사를 통하여 잠재적인 오염원(REC)을 찾아내는 과정을 말한다.
1) 절차
- 오염물질 및 오염원 조사 부지의 오염 확인을 위한 시료채취 및 analysis 계획 수립(SAP)
- 環境적오염인자 채취 및 현장 측정(測定)
- 오염도 analysis을 통하여 오염정도(농도) 및 오염량의 확인
- 관측정(測定) 이 설치 / 지하수 측정(測定)
- 정밀조사의 필요여부 판단
- 복원/improvement(개선) 비용의 산출
① 오염복원조사/타당성 조사 ( Remedial Investigation/Feasibility Study, RI/FS )
RI/FS는 복원을 전제로 한 토양 및 지하수의 정밀조사로 오염의 범위, 特性(특성), 양을 정확히 …(To be continued )
설명
environment오염기본진단과 environment오염정밀진단
순서
다. 環境오염기본조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표준화된 절차에 따르게 되는데, 현재는 전세계적으로 ASTM (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 에서 제시하고 있는 절차가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① 절차
- 유해물질의 제조, 저장, 사용 및 폐기 이력의 조사
- 토양 및 지하수의 오염 개연성 조사
- 인접 부지(시설)로 부터의 오염물질 유입 가능성 조사
- PCBs, 석면 및 방사성물질 등 유해물질 존재 가능성 조사
- 대기, 수질, 소음진동, 폐기물, 화학물질, 작업環境 등의 법적 규제사항 준수여부 및 問題點 조사
② 기본 진단 절차
기록 검토 -> 현장 방문 조사 -> 인터뷰 -> 보고서
2. 環境오염정밀진단 ( Phase II Environmental Site Assessment )
環境오염기본진단에서 확인된 오염 예상 지역과, 오염정도를 정확히 측정(測定) 하는 단계다. 環境오염기본조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표준화된 절차에 따르게 되는데, 현재는 전세계적으로 ASTM (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 에서 제시하고 있는 절차가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① 절차
- 유해물질의 제조, 저장, 사용 및 폐기 이력의 조사
- 토양 및 지하수의 오염 개연성 조사
- 인접 부지(시설)로 부터의 오염물질 유입 가능성 조사
- PCBs, 석면 및 방사성물질 등 유해물질 존재 가능성 조사
- 대기, 수질, 소음진동, 폐기물, 화학물질, 작업環境 등의 법적 규제사항 준수여부 및 問題點 조사
② 기본 진단 절차
기록 검토 -...
環境오염기본진단과 環境오염정밀진단
1. 環境오염기본진단 (Phase I Environmental Site Assessment)
環境오염기본진단이란 표준화된 절차에 따라 環境전문가가 및 현장조사를 통하여 잠재적인 오염원(REC)을 찾아내는 과정을 말한다. 오염물질의 잠재적 이동경로 및 이동률, 그리고 오염된 범위와 양을 산정하여 복원 방법 선정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