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노동자의 현실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09 09:55
본문
Download : 외국인 노동자의 현실.hwp
그 동안 농성을 하면 요구사항이 관철되었는데 합법적인 절차를 통해 법제정을 추진하면 구속이 되는 과정에서 `법은 멀고, 주먹만 가깝다`는 교훈을 얻게 되었다. 구속사태를 계기로 `외국인노동자보호법`제정과 상담소 탄압중지를 위한 37일간의 명동성당 농성은 사회적으로 외국인노동자 보호법제정이 피료썽을 인식시키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한편 당시 신한국당의 이재오 의원 외 28명이 서명한 의원입법안, 당시 새…(drop)






,의약보건,레포트
chosun2002
설명
외국인 노동자의 현실
Download : 외국인 노동자의 현실.hwp( 52 )
다. 각 종교단체 및 외국인노동자 운동단체들은 임금체불, 산재보상 등의 개별 외국인노동자들의 문제를 해결해 주는 동시에 외국인노동자 정책 및 제도의 改善(개선) 을 위해 여러 가지 활동을 해왔다.chosun2002 , 외국인 노동자의 현실의약보건레포트 ,
외국인 노동자의 현실 에 대한 글입니다. 이 과정에서 농성장에 내외신 기자들이 몰려들어 열띤 취재경쟁을 하였고, 결과적으로 많은 改善(개선) 도 이루어 내었지만 결국은 한국의 야만적인 모습을 폭로하는 `누워서 침뱉기`의 모습이 안타까운 현실이었다.
외국인 노동자의 현실 에 대한 글입니다. 법제정을 위해 서명운동, 공청회, 캠페인 등을 진행하던 중 불법체류 단속이라는 명목으로 외국인노동자 보호법제정운동을 탄압하며 발생한 김해성 목사, 양혜우 사무국장이 구속되는 사태가 일어났다. 산업재해를 당한 외국인노동자들의 농성을 통해 불법체류자에게도 산재보상을 실시하도록 하는 성과를 얻어내었고, 산업기술연수생들의 농성을 통해 연수생에게도 산재보상, 최저임금제 실시, 의료insurance적용 등을 이루어 냈다.
순서
레포트/의약보건
1. 중국(China)동포(조선족)는 누구인가
2. 조선족 노동자 실태(實態)
○ 외국인노동자 관련 국회 상정 4개안 자동폐기돼
○ 불법체류의 신분적 약점-인권유린의 출발
○ 임금체불-상담의 70퍼센트 정도를 차지
○ 심각한 산업재해 - `콩팥을 팔아서라도 가족의 품에 갈 수 있게 해 달라`
○ 프레스에 잘린 팔과 손가락 몇십 가마니는 될 것
○ 손 잘리고 자국에서 범죄자로 오인받으며 살아
○ 불법체류자의 출국 시 `벌금`이라는 장벽
○ 진료의 사각지대에 방치
○ 언어와 문화의 차이에 따른 마찰과 갈등
○ 폭행과 사기 등에 무방비로 방치되고 있따
○ 우리 국민의 외국인에 대한 差別(차별) 과 이중 잣대-국민 의식개혁 추진해야
○ 정신대 배상문제처럼 우리도 제소당해
3. 재외동포법 이란 무엇인가
4.‘재외동포의 출입국과 법적 지위에 관한 법률’ 의 problem(문제점)
5. 중국(China)동포의 법률문제(국내 판례를 중심으로)
① 산재insurance의 적용
② 노동법과 불법체류자와의 관계
③ 불법체류자의 손해배상 산정
④ 불법체류 중국(China) 동포의 사망에 대한 손해배상
⑤ 일시체류예정인 외국인(중국(China)동포)의 일실이익 산정 방법
⑥ 조선족 여자와의 위장결혼에 관한 대법원 판결
⑦ 중국(China)동포 불법체류자 보호기간 임의연장 사건
⑧ 입국브로커조직의 단속문제
⑨ 외국인 보호소에서의 문제
⑩ 국내관련판례의 현재상황 및 법적 problem(문제점)
6. 문제제기
2. 조선족 노동자 실태(實態)
법은 멀고 주먹은 가깝다? - 외국인노동자 관련 국회 상정 4개안 자동폐기돼
외국인노동자들의 노동권 및 인권침해의 심각성은 외국인노동자 유입 초기부터 활발한 외국인노동자 운동을 가져왔다. 단지 여기에서 그치지 않고 그간 외국인노동자대책협의회와 기독교계, 그리고 가톨릭쪽에서는 법제정을 위해 범국민서명운동을 벌여 10만여명의 서명부와 함께 <외국인노동자 보호법> 입법청원서을 제출하였다. 한편 상담이 폭증하면서 제도改善(개선) 의 피료썽을 느끼는 한편 전국적인 연대의 피료썽에 따라 <외국인노동자대책협의회>를 창립하게 되었고, 첫 번째 사업이 <외국인노동자보호법>제정운동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