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상의 물의 歷史 및 순환속도와 이용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7 07:37
본문
Download : 지구상의 물의 역사 및 순환속도와 이용.hwp
습윤 지역에서는 하천이나 호소는 지하수에 의해 조성되는 것이 보통인데, 선상지(扇狀地)나 대지(臺地)를 흐르는 하천은 반대로 지하수를 조성하는 경우가 많다.
지구상의물의歷史및특징,이용,未來
지구상의물의역사및특징,이용,미래 , 지구상의 물의 역사 및 순환속도와 이용생활전문레포트 ,
지구상의 물의 歷史 및 순환속도와 이용
Download : 지구상의 물의 역사 및 순환속도와 이용.hwp( 20 )
레포트/생활전문
순서
1. 지구상의 물
(1) 물의 양과 분포
(2) 물의 history(역사)
(3) 물의 순환 형태
(4) 물의 순환속도
(5) 수자원
2. 물이란 무엇인가
(1) 물의 조성
(2) 물의 성질
(3) 물의 구조
(4) 물·얼음·수증기
(5) 물의 정제
(6) 수용액
(7) 결정수
(8) 이상수(異常水)
3. 물의 이용
(1) 한국의 수자원
(2) 생활용수
(3) 농업용수
(4) 공업용수, 수질오염 및 대책
(5) 동력원
4. 민속신앙과 물
5. 물의 future
물의 순환 형태
물은 지구상에서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하는데, 그것들은 독립하여 존재하는 것이 아니고 지구상 물 순환의 일부로서 서로 연 관되어 있따 지구상 물의 대부분을 저류하고 있는 바다에서는 태양에너지에 의해 끊임없이 증발이 일어난다. 이와 같이 물 순환은 처음 도 끝도 없는 복잡한 계(系)를 이루고 있따 지역과 시간을 정하여 물의 출입을 계산하는 것을 물수지[水收支]라고 한다. 저위도지대에서는 태양에너지가 많고 해양의 넓이도 넓으므로 해면에 서 증발하는 물의 총량의 약 80%는 위도 40˚ 보다 저위도 쪽의 해역에서 증발한다. 리보비치는 대륙별 물 수지를 〔표 2〕와 같이 요점하였다. 기저유출량은 하천 유량 중에서 주로 지하수 유출로 생긴 변동이 적은 ingredient, 직접유출량은 강우 후 빨리 유출하는 변동이 큰 ingredient이다. 또 다른 일부는 지표를 흘러 직접 하천으로 들어간다. 내부유역(강수량이 적기 때문에 바깥바다로 유출하는 하천이 없는 대륙 내부의 유역)의 호소는 강수량의 변동에 좌우되어, 계절적·시대적으로 호의 넓이가 크게 change(변화)한다. 또 습윤 지역에서 유출하천이 없는 호수의 바닥에서는 대량의 물이 지하수로서 유출되고 있따 건조지역에서는 하천은 흘러가면서 증발 하거나 땅 속으로 침투하여 물을 잃고 끝이 없어져버리는 경우가 많다. 지상으로 낙하한 물의 약 65%는 증발하여 대기 중으로 돌아간다. 그 밖의 하천수는 바다로 돌아간다. 전 습윤 량은 토양 속…(투비컨티뉴드 )






,생활전문,레포트
설명
다. 나머지는 바람에 의해 육지로 운반되어 지상으로 낙하한다. 나머지의 일부는 땅 속으로 침투하여 지하수가 되고, 땅 속을 천천히 흘러 하천이나 호소를 이루든가 샘이 되어 지표로 나온다. 지하수는 전 유출량의 약 1/3 이며, 하천의 유량을 안정하게 한다. 증발한 수증기는 응결하여 구름이 되고 다시 비나 눈이 되어 그 90% 정도는 직접 해상으로 떨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