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론으로 살펴본 history교육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0 02:01
본문
Download : 담론으로 살펴본 역사교육.hwp
역싸교육연구회가 창립초기 일선교사들을 중심으로 교육과정과 교과서 및 보조data(資料), 학습지도의 실제와 평가, 학습지도안, 미국역싸교육에 대한 紹介 등 현장성이 짙은 논문을 발표하는 등 역싸교육의 방법적인 측면을 중시하면서 ‘현장성’을 살리고자 했다면 전국역싸교사모임은 그 창간사에서 “왜곡된 역싸교육을 떨쳐버리고 참된 역싸교육을 실천하기 위해…참된 역싸교육은…이 시대의 Task 인 민족, 민주, 통일과도 무관할 수 없으며…올바른 역싸인식, 역싸관을 바탕으로 현실의 Task 를 바로 알아 그 해결measure(방안) 을 모색하며, 그것을 온 몸으로 실천에 옮김으로써 바람직한 未來를 창조할 수 있는 민주적인 시민(Citizen)을 양성하는 데 있음…”이라고 밝힌 것처럼 교육의 내용적인 측면을 강조하면서 ‘현장성’을 살리려고 했다. theory 이 실천되는 현장에 있는 교사가 theory 이 현장에 안맞다고 이야기하니 논란이 되는 것이다.
설명
Download : 담론으로 살펴본 역사교육.hwp( 11 )
담론으로 살펴본 history교육
순서
다. 이 단체에서 출판한 대표적인 책 중의 하나인 『우리 아이들에게 역싸를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의 머리말을 보면 “…전공…(drop)
그동안의 history교육 연구의 담론들에 대상으로하여 이론과 현장, 내용과 방법, 이념과 내용 3가지로 나누어서 관련 학자들의 주장을 分析(분석)해봤습니다. 1955년 창립된 역싸교육연구회와 1988년 창립된 전국역싸교사모임으로 대표되는 단체이다.
하지만 역싸교육연구회의 ‘현장성’과 전국역싸교사모임의 ‘현장성’은 꼭 같지는 않다.
레포트/사범교육
그동안의 역사교육 연구의 담론들에 대해서 이론과 현장, 내용과 방법, 이념과 내용 3가지로 나누어서 관련 학자들의 주장을 분석해봤습니다.관련분야분들에게 많이 참고되길 바랍니다.역사교육개념 , 담론으로 살펴본 역사교육사범교육레포트 ,
,사범교육,레포트
history교육개념
관련분야분들에게 많이 참고되길 바랍니다.






1. 들어가며
2. theory 과 현장
3. 내용과 방법
4. 이념과 내용
5. 나오며
2. theory 과 현장
‘theory 과 현장’의 문제는 역싸교육연구자들이 지금까지 연구하여 발표한 역싸교육theory 들이 학교현장에서는 별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역싸교육에서 theory 과 현장의 괴리 논의의 대표적인 두 주체는 theory 을 연구하는 역싸교육 연구자와 현장에 몸담고 있는 역싸교사다.
현장교사들의 측면에서 먼저 이 논의를 살펴보자. 역싸교사들이 현장의 문제를 해결하고, 교육의 실천성을 강조하면서 나타난 외형적인 모습은 역싸교사 단체의 창립이다. 역싸교육연구회의 현장은 학교교실안에 국한되는 공간적인 현장이라면, 전국역싸교사모임의 현장은 공간적인 현장뿐 아니라 시대정신을 실천하는 시간적인 현장이라 할 수 있다
물론 전국역싸교사모임의 현장이 정치성을 가진다고 하여도 ‘theory 과 현장’의 문제 또한 중요시하게 이야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