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생전의 구조와 비극성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14 11:07
본문
Download : 주생전의 구조와 비극성.hwp
전기는 실제의 전기이든 소설형태의 전기이든 전기의 주인공을 위해서 씌어지므로 시간에 따라 전개된 주인공의 모든 사적은 그 어느 하나도 무시할 수 없다. 이러한 인물들간의 사이에서 벌어지는 애정 갈등이 이 작품의 주된 사건으로 보이지만 자세히 살펴보면 주인공 주생의 삶의 역정이 단순히 애정갈등의 좌절로만 엮어진 것이 아니라 여러 상황들이 복합적으로 엮어져있음을 알 수 있다
주인공의 주생의 삶의 역정은 앞서 보았듯이 크게 세 가지 사건으로 나눌 수 있다 주생전의 가장 기본적인 성격은 傳記라는 사실이다.
^^1 , 주생전의 구조와 비극성감상서평레포트 ,






,감상서평,레포트
순서
레포트/감상서평
Download : 주생전의 구조와 비극성.hwp( 96 )
1
주생전의 구조와 비극성
설명
^^
Ⅰ. 서론
1. 연구방향 및 목적
2. 기존 연구 검토
Ⅱ. <주생전>의 구조적 characteristic(특성)
1. 구성의 전개양상
2. 신분상승과 애정성취의 관계
Ⅲ. <주생전>의 비극적 성격
Ⅳ. conclusion
Ⅱ. <주생전>의 구조적 characteristic(특성)
1. 구성의 전개양상
<주생전>은 작중주인공 주생이 겪은 사건들을 시간의 순서에 따라 엮어 놓은 것이다.
먼저 작품의 줄거리를 요점해보면 크게 세 사건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①주생은 어려서부터 총명하였고 태학생이 되어서도 동배들의 추앙을 받았다. 혼기를 앞두고 전쟁이 나 조선 원병으로 징발되었다가 병이 들어 종군하지 못하고 송경에 머물게 된다
이러한 줄거리를 요점해 보면, 주인공의 삶의 역정이 단순히 애정성취의 좌절로만 이루어진 것이 아님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줄거리를 갖는 <주생전>의 작품 속의 인물은 주인공 주생과 기생 배도, 노승상의 딸 선화가 주된 인물이다.
②고향 전당에서 어렸을 때 함께 놀던 기생 배도를 만나 함께 머물다가 노승상 댁 딸 선화 를 보고 반하여 연모하던 중 배도의 주선으로 선화의 동생 국영의 선생이 되어 선화집에 거처를 옮기고 선화와 백년가약을 맺는다. 따라서 주생의 가문, 출생, 어린 시절의 능력과 꿈, 과거에의 실패 등 두 여성을 만나기 전까지의 사적도 연애사건과 대등하…(생략(省略))
다. 이 사실을 알게 된 배도는 상심 끝에 죽고, 국 영도 병사하여 주생은 그곳을 떠나 장노인댁에 의탁한다. 그러나 과거 시험에 거듭 낙방하자 과업을 포기하고 장사를 하면서 이곳 저곳을 떠돌아 다닌다.
③주생이 선화를 잊지 못해 병이 들자, 장노인은 선화와의 혼인을 받아낸다.